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설조

덤프버전 :




파일:다카라즈카 설조 로고 화이트.png


[ 생도 ]
[ 작품 목록 ]
2017 - 2020
파일:호박색 비에 젖어 포스터.jpg
파일:빛이 흐르는 길 포스터.jpg
파일:마코토의 군상 포스터.jpg
파일:개선문 포스터.jpg

전국 투어
2017.08.25 ~ 2017.09.18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17.11.10 ~ 2018.02.11

전국 투어
2018.03.23 ~ 2018.04.15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18.06.08 ~ 2018.09.02
파일:팬텀 포스터.jpg
파일:20세기호를타고 포스터.jpg
파일:미부의사전 포스터.jpg
파일:할리우드 가십 포스터.jpg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18.11.09 ~ 2019.02.10

도큐 시어터 오브
2019.03.22 ~ 2019.04.07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19.05.31 ~ 2019.09.01

KAAT 카나가와 예술극장 / 우메다 예술극장 시어터 드라마시티
2019.10.12 ~ 2019.10.31
파일:날아라 황금색 날개여 포스터.jpg
파일: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포스터.jpg
파일:나우 줌 미 포스터.jpg
파일:불꽃의 볼레로 포스터.jpg

전국 투어
2019.10.12 ~ 2019.11.10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20.01.01 ~ 2020.03.22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20.09.11 ~ 2020.10.03

우메다 예술극장 메인홀
2020.08.29 ~ 2020.09.06
파일:fff 포스터.jpg
파일:.jpg
파일:.jpg
파일:.jpg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21.01.01 ~ 2021.04.11

다카라즈카 바우홀 / KAAT 카나가와 예술극장
2021.05.26 ~ 2021.06.16

전국 투어
2021.06.01 ~ 2021.06.15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21.08.06 ~ 2021.11.14


파일:다카라즈카 설조 로고 화이트.png雪組(ゆきぐみ
다카라즈카 가극단 설조
Snow Troupe
||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창설1924년
(창단일로부터 36683일, 91주년)
모회사파일:한큐 전철 로고.svg[1]
소속 극단파일:다카라즈카_로고_검.png
톱 콤비아야카제 사키나(93기생)
유메시로 아야(103기생)
조장소노 하루토(85기생)
부조장토마 카즈키(91기생)
공식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역대 톱스타
3.1. 남역
3.2. 여역
4. 생도
5. 출신 인물
6. 여담




1. 개요[편집]


雪組(설조,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5개조 중 세 번째 조로 한국에서는 주로 '설조'로 불린다. 이미지 컬러로는 초록색이 주로 사용된다.

2. 특징[편집]


1924년에 신설된 조로 조명칭은 '설월화'를 기념하여 지어졌다.

전쟁 후, 카스카노 야치요를 중심으로, 특별힌 일본무도나 소작의 아름다움을 평가받은 스타를 많이 배출. 청초한 예를 특색으로, 일본물 연기를 특기로 해왔다. 또 가창력 정평이 있는 스타도 많고 <엘리자벳>을 일본에 소개한 것도, 당시의 톱스타 이치로 마키에 의한 점이 크다. 현재 댄스를 특기로 하는 스타가 많이 재적해 쇼에서도 강점을 발휘하고 있다.

2016년 공연 <바람의 검심>으로 다카라즈카 가극단 사상 처음으로 다카라즈카 대극장 3작품 연속 전 일정 가동률 100%이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

3. 역대 톱스타[편집]



3.1. 남역[편집]


역대톱스타재임기간
1대타카미네 타에코(高峰 妙子)[3]1927년 2월 27일
2대유키노 후지코(雪野 富士子)1934년
3대하츠네 레이코(初音 礼子)[4]1945년
4대카스가노 야치요(春日野 八千代)1950년
5대아카시 테루코(明石 照子)1962년
6대마호 시부키(眞帆 志ぶき)1970년[5]
7대고 치구사(郷 ちぐさ)
미기와 나츠코(汀 夏子)
1970년 5월 9일~1972년 10월 31일
8대미기와 나츠코(汀 夏子)1972년 11월 1일~1980년 8월 31일
9대아사미 레이(麻実 れい)1980년 9월 1일~1985년 4월 30일
10대타이라 미치(平 みち)1985년 5월 1일~1988년 11월 29일
11대모리 케아키(杜 けあき)1988년 11월 30일~1993년 3월 31일
12대이치로 마키(一路 真輝)1993년 4월 1일~1996년 6월 30일
13대타카네 후부키(高嶺 ふぶき)1996년 7월 1일~1997년 7월 30일
14대토도로키 유우(轟 悠)1997년 7월 31일~2002년 2월 11일[6]
15대에마오 유우(絵麻緒 ゆう)2002년 2월 12일~2002년 9월 23일
16대아사미 히카루(朝海 ひかる)2002년 9월 24일~2006년 12월 24일
17대미즈 나츠키(水 夏希)2006년 12월 25일~2010년 9월 12일
18대오토즈키 케이(音月 桂)2010년 9월 13일~2012년 12월 24일
19대소우 카즈호(壮一帆)2012년 12월 25일~2014년 8월 31일
20대사기리 세이나(早霧 せいな)2014년 9월 1일~2017년 7월 23일
21대노조미 후우토(望海 風斗)2017년 7월 24일~2021년 4월 11일
22대아야카제 사키나(彩風 咲奈)2021년 4월 12일~현재

3.2. 여역[편집]


역대톱스타재임기간
1대미카키 에츠코(御垣 悦子)1930년
2대쿠레나이 치즈루(紅 千鶴)1933년
3대사쿠라카치 키미코(桜地 紙子)1944년
4대후카미도리 나츠요(深緑 夏代)1955년
5대오토와 노부코(乙羽 信子)1950년
6대토고 하루코(東郷 晴子)-
7대아라타마 미치요(新珠 三千代)1950년 쯤
8대하마 유우코(浜 木綿子)1956~1960년 [7]
9대카모 사쿠라(加茂 さくら)1961년~1967년[8]
10대오오하라 마스미(大原 ますみ)1968년 9월 28일~1970년 5월 8일[9]
11대마야 아케미(摩耶 明美)1970년 5월 9일~1975년 3월 30일
12대마야 아케미(摩耶 明美)
타카미야 사치(高宮 沙千)
1970년 5월 9일~1976년 9월 27일
13대타카미야 사치(高宮 沙千)1974년 3월 31일~1976년 9월 27일
14대아즈마 치아키(轟 悠)1976년 9월 28일~1979년 3월 25일[10][11]
15대하루카 쿠라라(遥 くらら)1980년 4월 8일~1984년 7월 30일[12]
16대칸나 미호(神奈 美帆)1985년 5월 1일~1985년 11월 29일
17대아유 유우키(鮎ゆうき)1985년 11월 30일~1991년 12월 26일
18대무라사키 토모(紫とも)1991년 12월 27일~1994년 3월 28일
19대하나후사 마리(花總 まり)1994년 3월 29일~1997년 12월 31일 [13]
20대츠키카게 히토미(月影 瞳)1998년 1월 1일~2002년 2월 11일
21대콘노 마히루(紺野 まひる)2002년 2월 12일~2002년 9월 23일
22대마이카제 리라(舞風 りら)2002년 9월 24일~2006년 12월 24일
23대시라하네 유리(白羽 ゆり)2006년 12월 25일~2009년 5월 31일
24대아이하라 미카(愛原 実花)2009년 6월 1일~2010년 9월 12일[14]
25대마이하네 미미(舞羽 美海)2011년 3월 24일~2012년 12월 24일
26대마나카 아유(愛加 あゆ)2012년 12월 25일~2014년 8월 31일
27대사키히 미유(咲妃 みゆ)2014년 9월 1일~2017년 7월 23일
28대마아야 키호(真彩 希帆)2018년 7월 24일~2021년 4월 11일
29대아사즈키 키와(朝月 希和)2021년 4월 12일~2022년 12월 25일
30대유메시로 아야(夢白 あや)2022년 12월 26일~현재

4. 생도[편집]


파일:다카라즈카 설조 로고 화이트.png
파일:쥬엘드파리_아야카제 사키나.jpg
파일:쥬엘드파리_유메시로 아야.jpg
파일:쥬엘드파리_소노 하루토.jpg
파일:쥬엘드파리_토마 카즈키.jpg
Top
아야카제 사키나
Top
유메시로 아야
조장
소노 하루토
부조장
토마 카즈키
彩風咲奈夢白あや奏乃はると透真かずき
파일:에히메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쥬엘드파리_마나 하루토.jpg
파일:쥬엘드파리_쿠죠 아스.jpg
파일:쥬엘드파리_안노 코노미.jpg
파일:쥬엘드파리_아사미 준.jpg
마나 하루토쿠죠 아스안노 코노미아사미 준
真那春人久城あす杏野このみ朝美絢
파일:치바현 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
파일:쥬엘드파리_아이 스미레.jpg
파일:쥬엘드파리_오지 카오루.jpg
파일:쥬엘드파리_아마츠키 츠바사.jpg
파일:쥬엘드파리_시라미네 유리.jpg
아이 스미레오지 카오루아마츠키 츠바사시라미네 유리
愛すみれ桜路薫天月翼白峰ゆり
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파일:시가현 현기.svg
파일:쥬엘드파리_카즈키 소라.jpg
파일:쥬엘드파리_히메하나 유키노.jpg
파일:쥬엘드파리_사라 안나.jpg
파일:쥬엘드파리_카노 유우리.jpg
카즈키 소라히메하나 유키노사라 안나카노 유우리
和希そら妃華ゆきの沙羅アンナ叶ゆうり
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쥬엘드파리_스와 사키.jpg
파일:쥬엘드파리_노노카 히마리.jpg
파일:쥬엘드파리_키라라 우미.jpg
파일:쥬엘드파리_마노미야 루이.jpg
스와 사키노노카 히마리키라라 우미마노미야 루이
諏訪さき野々花ひまり希良々うみ眞ノ宮るい
파일:교토부 부기.svg파일:후쿠오카현 현기.svg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
파일:쥬엘드파리_세이카 리안.jpg
파일:쥬엘드파리_아가타 센.jpg
파일:쥬엘드파리_히요리 하루마.jpg
파일:쥬엘드파리_코토하네 리리.jpg
세이카 리안아가타 센히요리 하루마코토하네 리리
星加梨杏縣千日和春磨琴羽りり
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교토부 부기.svg파일:치바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
파일:쥬엘드파리_아사토 미레.jpg
파일:쥬엘드파리_이치카 아오.jpg
파일:연8_아리스 히메카.jpg
파일:쥬엘드파리_사키시로 케이.jpg
아사토 미레이치카 아오아리스 히메카사키시로 케이
麻斗海伶一禾あお有栖妃華咲城けい
파일:이시카와현 현기.svg파일:교토부 부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
파일:연8_마유즈키 레아.jpg
파일:연8_스즈하나 미우.jpg
파일:연8_마레하 린토.jpg
파일:연7_세이미 유우.jpg
마유즈키 레아스즈하나 미우마레하 린토세이미 유우
真友月れあ涼花美雨稀羽りんと聖海由侑
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와카야마현 현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
파일:연7_소우미 하루마.jpg
파일:연7_마나하 아야네.jpg
파일:연7_리나 쿠루미.jpg
파일:연7_사란 레이아.jpg
소우미 하루마마나하 아야네리나 쿠루미사란 레이아
壮海はるま愛羽あやね莉奈くるみ紗蘭令愛
파일:아키타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연7_아마사키 레아.jpg
파일:연6_아오하 레이야.jpg
파일:연6_마나히 미치.jpg
파일:연6_아야토 시온.jpg
아마사키 레아아오하 레이야마나히 미치아야토 시온
天咲礼愛蒼波黎也愛陽みち絢斗しおん
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파일:후쿠오카현 현기.svg
파일:연6_치하야 마오.jpg
파일:연6_아사하나 스완.jpg
파일:연6_나노하 미토.jpg
파일:연6_후우가 카나데.jpg
치하야 마오아사하나 스완나노하 미토후우가 카나데
千早真央麻花すわん菜乃葉みと風雅奏
파일:치바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시가현 현기.svg파일:군마현 현기.svg
파일:연6_와카나 타츠키.jpg
파일:쥬엘드파리_네이로 유이.jpg
파일:연5_코토미네 사아라.jpg
파일:연5_아이소라 미나미.jpg
와카나 타츠키네이로 유이코토미네 사아라아이소라 미나미
和奏樹音彩唯琴峰紗あら愛空みなみ
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
파일:연5_키시로 유리야.jpg
파일:연5_미사키 케이.jpg
파일:연5_키스이 나오토.jpg
파일:연5_미카게 쿠라라.jpg
키시로 유리야미사키 케이키스이 나오토미카게 쿠라라
紀城ゆりや海咲圭希翠那音美影くらら
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교토부 부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연5_츠키세 요우.jpg
파일:연4_카세 쿄2.jpg
파일:연4_카스미 사나2.jpg
파일:연4_유메토 미와2.jpg
츠키세 요카세 쿄카스미 사나유메토 미와
月瀬陽華世京華純沙那夢翔みわ
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효고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연4_키리노 아사토2.jpg
파일:연4_후지카게 유라.jpg
파일:연4_아마네 코토하.jpg
파일:연4_유메히 마리.jpg
키리노 아사토후지카게 유라아마네 코토하유메히 마리
霧乃あさと藤影ゆら天音ことは夢陽まり
파일:치바현 현기.svg파일:교토부 부기.svg파일:히로시마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
파일:연4_아야나 미키.jpg
파일:연3_시라키 하나.jpg
파일:연3_미즈키 세레나.jpg
파일:연3_카제타치 니키.jpg
아야나 미키시라키 하나미즈키 세레나카제타치 니키
彩名美希白綺華瑞季せれな風立にき
파일:니가타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미야기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
파일:연3_아이즈키 하루토.jpg
파일:연3_히메나 타마키.jpg
파일:연3_토우즈키 리쿠.jpg
파일:연3_오토세 치하루.jpg
아야즈키 하루토히메나 타마키토즈키 리쿠오토세 치하루
絢月晴斗妃奈環瞳月りく乙瀬千晴
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
파일:연3_코노미 유키.jpg
파일:연2_엔리 코우키.jpg
파일:연2_호시자와 아리사.jpg
파일:연2_키요하 미레이.jpg
코노미 유키엔리 코우키호시자와 아리사키요하 미레이
小乃美ゆき苑利香輝星沢ありさ清羽美伶
파일:후쿠시마현 현기.svg파일:아키타현 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
파일:연2_미즈키 코쵸.jpg
파일:연2_사코 니이나.jpg
파일:연2_사카키 아유무.jpg
파일:연2_코토카 히마와리.jpg
미즈키 코쵸사코 니이나사카키 아유무코토카 히마와리
水月胡蝶紗香にいな榊歩琴華ひまわり
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파일:도쿄도 도기.svg파일:오사카부 부기.svg파일:교토부 부기.svg
파일:연2_센노 아라타.jp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센노 아라타
千乃新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5. 출신 인물[편집]


설조 출신 생도에 대해서만 기록합니다. 기수별 및 가나다 순으로 기재하며, 이름 옆에는 '(기수, 설조 소속 기간)'을 추가합니다. 설조 소속 후 조이동을 한 경우 조이동에 작성해주세요.

설조의 제 20대 톱스타로 톱스타 취임 이후 '5공연 연속 대극장 가동률 100%'[15]라는 어마무시한 대기록을 보유한 남역 톱스타였다. 이 기록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100년 역사 가운데서도 사기리 세이나만이 유일하게 갖고있는 기록으로 2010년대 설조 황금기를 연 선구자이다. 2017년 공연 <막말태양전>을 마지막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약 3년간의 톱스타 활동의 마침표를 찍으며 퇴단했다.[16]

  • 키타하라 요코(北原遥子) - 1984년 퇴단
본명은 "요시다 유미코"(吉田由美子).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로 인해 사망한 비운의 히로인으로 알려 졌지만, 상당한 능력의 소유자이다.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설조의 톱스타였으며 들어가기 어렵다는 그 다카라즈카 극단을 아무런 레슨도 없이 찾아가 오직 자신이 타고난 가창력과 연기력으로 들어간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작은 뮤지컬 엘리자벳, 베르사유의 장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이 있다. 특히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에서는 남역이 아닌 여자 주인공인 스칼렛 오하라 역할을 맡았는데 이것은 여역을 해도 충분한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외모와 출중한 가창력, 연기력으로 연2년차에 다른 조의 톱여역이 될 뻔 하였으나 본인은 남역이 되기를 희망해 설조에 남았고 1993년 톱스타로 취임하였다.[17] 다카라즈카 퇴단작인 엘리자벳에서 토드역을 맡아 엘리자벳이 성공작이 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이 작품으로 일본 뮤지컬계에서는 전설이 되었다.[18]뛰어난 가창력과 연기력을 가지고 아직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 유명한 리브 문의 메인보컬. 거기에 가극단 역사상 유례없는 혼혈[19]이자 1997년에 음악학교 85기생으로 수석 입학, 99년에 가극단에 입단하여 설조 공연 "재회 - 노바 보사 노바"로 첫 출연하여 그 해 10월 4일에 설조에 배속되었다. 입단성적은 40명 중 6위로 2004년 7월 11일에 "스사노오 -창국의 괴수-"와 "다카라즈카 글로리"를 마지막으로 퇴단하기까지 남역으로 활동하였는데, 이때 저음역대를 꾸준히 소화한 덕분에 어떤 노래를 하더라도 음역대가 매우 넓다. 덕분에 고음과 저음을 모두 소화함으로써 4옥타브의 여신이라 불리게 되었고, 현재에 이르게 된다. 다만 활동기간이 약 5년으로 다른 동기들과 달리 짧은 게 아쉬운 부분. 게다가 후술할 무릎 수술로 인한 휴지기, 그리고 퇴단 후 돌연 유학길에 오르는 등으로 일찍 퇴단한 탓에 톱스타의 자리까지 올라오지는 못했다. 또한 그녀가 퇴단하게 된 계기는 매우 특이한데, 음악학교 졸업공연 준비를 하던 도중에 무릎 부상을 당하여 젠느 데뷔 후 이를 숨기고 활동하다가 팬들에게 지적을 받자 결국 수술하기에 이르렀고, 수술 후 요양하다가 해외에서 뮤지컬을 보고 충격을 받자 퇴단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해부터 2005년까지 영국으로 유학을 다녀와 뮤지컬 활동으로 입지를 쌓아 가수를 준비하게 되었고, 상술한 메탈밴드 리브 문을 2009년에 결성하여 현재까지 가수와 뮤지컬 배우로 계속 활동하고 있다.

91기생 남자 역 출신으로 2005년에서 2009년까지 가극단에서 활동했다. 현재는 성우로 일 하고 있으며, 대표 역은 프리큐어 시리즈큐어 쇼콜라.

6. 여담[편집]


  • 톱콤비 사이가 유독 좋은 조로 꼽힌다. 다카라즈카 자체가 남녀 톱콤비를 묶어서 상품화하긴 하지만, 설조는 유독 콤비 간 꽁냥꽁냥이 눈에 띈다. 대표적인 사례가 ‘치기미유’로 불렸던 전임 톱스타 콤비 사기리 세이나와 사키히 미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6:59:08에 나무위키 다카라즈카 가극단 설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큐 전철 창유사업본부 가극사업부가 운영하고 있다. 즉,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한큐 전철의 분할회사나 자회사 형태가 아닌 본사가 직접 관할하는 직할조직이다.[2] 당시 남역 톱스타 사기리 세이나는 톱 취임 이후 상연한 모든 대극장 작품(5작품)에서 가동률 100% 이상을 달성했다. 이는 100년 역사를 넘긴 다카라즈카 창단 이래 신기록이다.[3] 화조의 톱스타이기도 했다.[4] 설조의 조장도 겸했다.[5] 이후 전과로 이동해 활동하다 1975년에 퇴단.[6] 이후 전과로 이동.[7] 1961년 퇴단[8] 이후 전과로 이동.[9] 이후 퇴임 후 성조 톱여역 취임.[10] 이후 (1979년 3월 26일)성조 톱여역으로 취임.[11] 이후 톱여역 부재(1979년 3월 26일~1980년 4월 7일).[12] 이후 톱여역 부재(1984년 7월 31일~1985년 4월 30일).[13] 이후 (1998년 1월 1일)주조 톱여역 취임[14] 이후 톱여역 부재(2009년 9월 13일~2011년 3월 23일.[15] 톱스타 취임 이후 전 공연이 매진이었다는 의미.[16] 이전 수정글에 '2018년 바람의 검심으로 퇴단'이라고 적혀있었는데 잘못된 서술이다. 치기는 2017년에 막말태양전으로 퇴단했다. 2018년에 한 바람의 검심은 외부 주연작이자, 퇴단 후 첫 남역이다.[17] 2년차에 남역의 배우에게 톱 여역의 자리를 제안한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18] 이후에 토호 버전 뮤지컬 엘리자벳에서 초연부터 오연까지 엘리자벳 역을 맡았다.[19] 폴란드계 스웨덴인 아버지와 한국계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